독감 예방접종 맞는 시기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찬바람이 불고 기온이 떨어지면서 감기 특히 독감에 대한 준비가 필요해집니다. 보통 독감은 11월부터 그 다음 해 3~4월까지 유행합니다. 또한 최근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감염증 등 급성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독감에 대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역시 예방접종입니다.
독감 예방 접종
A형, B형 독감은 치료가 가능하한 독감입니다.
타미플루, 리렌자, 페라미플루 등의 항바이러스 약물 충분히 치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치료보다 좋은것은 인플루엔자백신 접종입니다.
보통 독감은 11월부터 유행이 시작되기 때문에 늦어도 11월 중에 접종해야합니다.
접종 최소 2주 이후에 항체가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독감 예방 접종 대상
우선 권장 접종 대상자
▶반드시 접종이 필요한 대상
독감과 함께 폐렴 등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험군
- 5세 이하의 유아
- 65세 이상의 고령자
- 만성질환자
- 암 환자
- 면역억제 약물 복용자 등
▶위험군에 속하는 가족 구성원
예방접종을 통해 가족 구성원 보호
독감 예방 접종 불가 대상자
- 독감 예방주사에 과민반응(알레르기)이 있는 사람
- 달걀에 과민반응(알레르기)이 있는 사람
- 6개월 미만의 영아
- 임신 초기인 임산부
- 열이 높은 사람
- 예전에 독감 예방접종 후에 길리안 바레 증후군을 앓은 사람
※ 길리안(길랑) 바레 증후군이란?
주로 말초신경과 뇌신경에 걸쳐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
그 원인이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음.
20-40대의 젊은 층에게 흔히 발생.
특정한 계절이나 인종과 관계없이 발생.
초기 호흡기나 소화기 감염 증상을 보이다 신경염 증상으로 확대.
대표적인 증상 : 안면 근육마비, 무반사, 심한 운동 실조증
독감 예방 접종 주의사항
▶접종 당일
- 건강상 이상이 없어야 함
발열 등 호흡기 증상이 있을 경우 접종 시기를 연기 필요 - 접종 전 충분한 수분 섭취와 안정
- 접종 전 의사에게 만성질환이나 현재의 증상이 있는 경우 상세하게 알릴 것
▶접종 후
- 이상 증상 발현 시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찾을 것
고열, 호흡곤란, 두드러기, 심한 현기증 등
독감에 걸리면?
- A형 독감
발열, 기침 증상이 B형 독감보다 흔하게 발생 - B형 독감
A형에 비해 가벼운 증상
성인보다 소아에서 흔히 발생
설사, 두통, 근육통 동반 - 공통 사항
38도 이상의 고열, 기침, 인후통, 두통, 근육통, 피로감 등
.
독감에 거리면 당장 나타날 수 있는 증상도 문제가 될 수 있지만 가장 우려되는 것은 바로 합병증입니다.
독감 감염 후 노약자, 면역 저하자들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폐렴과 같은 2차 합병증 더 문제가 되곤 합니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대한 대응보다 바이러스 감염 후 면역 체계가 약화된 몸에 세균 또는 다른 바이러스의 침투 그리고 그로인한 2차 합병증의 전체적인 관리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