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 원인 및 예방 방법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건조한 겨울 안구 건조 증상을 더욱 심하게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며 안구건조증 원인 및 예방 방법 필요한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낮아진 기온으로 인한 실내 난방으로 인해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기 더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TV,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는 안구 건조를 야기하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현대인의 질병 안구건조증
눈에 있는 마이봄샘이 어떠한 원인들로 막히게 되면서 눈물 막이 불안정해지고 눈물 증발이 많아지며 안구가 건조해지는 현상을 안구건조증이라고 합니다.
▶ 마이봄샘
- 눈꺼풀에 고루 분포
- 얇은 지방층을 만들어 눈물의 증발을 막는 역할
▶ 안구건조증 대표 증상
- 눈이 뻑뻑해지고 시려지는 현상
- 잦은 충혈, 이물감, 작열감 등 동반
눈 뜨기 불편하거나 심할 경우 힘들어 짐 - 찬바람에 눈물이 나며 통증을 동반하기도 함
▶ 안구건조증의 비중
여성의 비중이 높습니다. 특히 젊은 여성들의 경우 콘택트렌즈 착용이나 눈 화장이 원인이라고 합니다. 눈 화장을 완전히 지우지 않고 잠을 잘 경우 화장품 찌꺼기가 마이봄샘을 막아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폐경기 여성의 경우에는 여성호르몬 부족으로 눈물샘 분비 기능이 약해져 안구건조증이 발생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방 방법
안구건조증의 증상은 인공 눈물을 이용해 완화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증이 생길 정도로 안구건조증이 심하거나 중증의 경우 염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인공 눈물의 사용 보다는 검진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근본 질환을 치료하거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생활 습관의 조절을 통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실내 온도 18~22도 유지
- 하루 세 번 환기 하기
- 실내 습도 60% 이상 유지 하기(필요 시 가습기 이용)
- 컴퓨터 작업, 오랜 시간 TV 보는 경우
일정 시간 눈을 감고 눈이 쉴 수 있는 시간 주기
눈 깜박임 횟수가 줄어들어 눈물의 증발 속도가 빨라져 안구 건조를 유발 할 수 있음 - 콘택트렌즈보다 안경 사용하기
콘택트렌즈는 눈의 수분을 빼앗아 안구건조증을 유발하거나 심화시킬 수 있음
안구건조증 원인과 예방 방법 알아보았습니다.
최근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 안구건조증으로 불편함을 겪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눈물 약, 인공 눈물 하나 정도 집에 없는 가정은 아마 없을 것입니다. 디지털 생활의 문제점으로 현 시대의 우리가 짊어지고 가야 할 숙명이겠지만 위 설명처럼 작은 습관을 몸에 익혀 관리한다면 상당 부분 그 짐을 줄일 수 있다고 합니다.
파트너스 활동으로 수익이 발생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