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채식 식단 문제점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건강을 위해 또는 다이어트를 위해 생채식 식단 시작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물론 충분한 이점이 있는 식단이지만 분명 문제점 또한 존재합니다. 그리고 오랜 기간 이 식단을 적용할 경우 오히려 몸에 더 안 좋은 영향을 미치기까지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생채식 식단
생채식을 섭취하는 것은 우리 몸에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미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이를 이용해 생채식 다이어트, 생채식 건강법 등이 생겨나고 이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몸에 이로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건강한 체중을 유지해 심장병 위험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위한 식단입니다. 특히 난치병 투병 중에 이것을 이용해 효과를 본 이야기가 공개되며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건강 식단의 하나가 되었습니다.
조리 과정을 통해 손실 되는 영양소와 효소를 그대로 섭취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생채식 식단입니다. 조리를 하지 않은 식물성 식품만 섭취하는 것으로 이것 만으로 충분한 에너지 수준을 만들고 질병을 예방하며 더 건강한 몸을 만들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최근 이에 따른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장기간 생채식을 지속할 경우 오히려 건강에 좋지 못하다고 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른 생채식 식단 문제점
1. 오히려 필요한 영양소의 섭취가 부족할 수 있다.
일부 음식 즉, 식물성 재료 중 조리 과정을 통해 영양소가 손실 되는 것이 아닌 증가 되는 재료들이 있습니다. 또한 조리 과정을 거치며 흡수율이 증가하는 재료도 있습니다.
시금치의 칼슘, 토마토의 리코펜 성분 등이 대표적이며 이 외 케일, 버섯, 브로콜리, 아스파라거스, 당근, 콜리플라워 등의 식재료들이 조리 후 영양이 증가하거나 흡수율이 좋아지는 채소들입니다. 주로 항산화에 필요한 베타카로틴, 루테인, 리코펜 등의 성분이 많은 채소들이 그러합니다.
2. 특정 영양소가 부족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엄격한 생채식 식단을 하는 사람들에게서 비타민 B12 결핍이 305 이상 높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러한 완전 채식의 경우 비타민B12 외 비타민D, 아연, 셀레늄, 철, 오메가-3 지방산 등의 결핍을 가져올 수 있다고 합니다.
결국 이러한 영양소의 결핍은 관련 질병에 대한 문제와 연결되게 됩니다. 구강 궤양, 황달, 시력 문제, 우울증, 불규칙한 월경, 골다공증, 불임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생채식 식단 문제점 알아보았습니다.
이점도 충분히 많은 건강 식단이지만 이를 오랜 기간 유지할 경우 건강에 적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식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른 방법으로 부족해질 수 있는 것들을 채우며 이것을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