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주가 고위험 음주 그리고 알코올 중독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고위험 음주군 그리고 알코올 중독 이것을 애주가로 착각하기 쉽습니다. 우리나라는 음주 문화가 굉장히 만연해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국민들의 음주율은 계속 올라가고 있다고 합니다. 고위험 음주율의 비율 또한 매년 올라가고 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 음주 문화
이렇게 우리 사회에 만연한 술 문화 즉 음주 문화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실시된 사회적 거리 두기 영향으로 그 증가세가 줄어드는 것 같았으나 최근 위드 코로나의 시행과 더불어 오히려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
물론 음주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적당히 즐기는 수준의 음주가 아닌 지나친 음주가 계속 이어질 경우 ‘고위험 음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는 간 질환, 각종 대사 질환, 뇌 건강 등에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정신적으로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어 한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인 큰 문제를 일으키고 나아가 그 사람의 인생 자체에 큰 문제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고위험 음주군 및 알코올 중독
술을 좋아하고 즐기시는 분이라면 자신의 음주에 대한 체크가 필요합니다. 고위험 음주군, 잠재적 알코올 중독자 등 어떤 정도의 음주 의존성을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질병 관리청 만성질환 건강 통계 기준 고위험 음주 군
- 남성의 경우
술자리에서 7잔 이상(맥주로는 5캔) 주 평균 2회 이상 마시는 사람 - 여성의 경우
술자리에서 5잔 이상(맥주로는 3캔) 주 평균 2회 이상 마시는 사람
또한 알코올 의존 검사(AUDIT-K)를 통해 조금 더 자세하게 분류를 나눌 수 있습니다.
(아래 첨부 이미지 참조)
※ 알코올 의존 검사(AUDIT-K) 분류 결과
- 8점 이상
주의 필요 - 12~19점
알코올 중독 전 단계 - 20점 이상
전문가 치료가 필요한 위험 군(알코올 중독)
고위험 음주군 문제 및 위험성
지나친 음주가 우리에게 일으키는 가장 나쁜 영향으로는 간 질환을 유발하는 것과 뇌 건강에 치명적이라는 것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다들 잘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이 두 가지 외 또 다른 위험성이 있습니다.
1. 당뇨병
알코올의 과다 섭취는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합니다. 각종 대사 증후군의 발병 위험을 높여 당뇨병 등을 발병 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알코올이 체내 염증 반응과 혈당을 증가 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특히 고위험 음주 군에서 그보다 낮은 음주 군에 비해 매우 높은 혈당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고위험 음주 군의 경우보다 낮은 수준의 음주 군보다 당뇨병 발병 확률이 무려 1.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당뇨병 발병의 경우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더욱 높게 나왔다고 합니다.
2. 근육 감소
근육 감소의 경우 주로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특히 폐경 여성의 경우 고위험 음주 군에 속할 경우 근육의 감소가 급증했다고 합니다. 보다 낮은 수준의 단계 대비 약 3배 이상의 높은 수치로 폐경 이후에는 호르몬 분비가 줄어들게 되어 근 감소와 체지방 증가가 일어나고 고위험 음주의 경우 이를 더욱 심하게 악화 시킨다고 합니다.
또한 대사 증후군,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도 높아진다고 합니다.
3. 자살
보건 복지부의 한 조사 자료에 따르면 자살을 시도한 사람의 절반이 넘는 숫자가 음주 상태였다고 합니다. 또한 고위험 음주 군은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보다 약 두 배 정도의 자살 위험이 높다고 합니다.
고위험 음주 군 또는 그 이상의 알코올 중독 수준의 음주가 이어지면 뇌가 알코올의 자극에 익숙해져 우울감을 만들게 되고 이는 계속 음주를 이어지게 만든다고 합니다. 이렇게 이어지는 우울감에 자살까지 생각하게 된다고 합니다
음주와 자살은 연관이 짙은 관계입니다.
고위험 음주군 그리고 알코올 중독 애주가 문제점 알아보았습니다.
우리나라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음주 문화가 있는 나라입니다. 잠을 줄이며 술을 마시고, 놀기 위해 술을 마시고, 기쁘다고, 슬프다고, 심심하다고, 단합이 필요하다고 등등. 사실 다 술을 마시기 위한 핑계일 불과합니다. 또한 과음에 사회적 시선 역시 관대한 편입니다.
문화도 문화지만 사회생활 등에서 일어나는 지나친 경쟁, 불안, 갈등과 같은 사회, 문화적 환경이 술을 부르고 술이 사람을 망치고 하는 것 같습니다. 우선적으로 건강한 음주에 대한 개개인의 경각심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